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저리주저리26

힘든 하루 요 근래 정신적으로 힘들었지만 오늘부터는 육체적으로도 힘들 예정입니다. 일주일동안 취사지원에 걸려서 하루 세 끼를 하니까 땀에 젖어서 저녁때는 정신을 못차리겠습니다… 이 일기도 살짝은 몽롱한 상태에서 쓰는 중일지도 모릅니다. 자대는 다음주 수요일에 이동하는데 아마 이런 일로 투덜투덜 할때가 좋았던 시절로 보일수도 있겠죠. 아무튼 이렇게 몇자 적고 오늘은 너무 피곤해서 들어가겠습니다. 2024. 8. 9.
군대에서 반복되는 일상 사실 밖 이리면 일기 쓰기도 조금 즐거웠을 텐데 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진도 있고, 여러 기록을 남길 수 있으니. 군대라는 공간에서 남길 수 있는 것은 오직 글 밖에 없으니까 어찌 보면 나 자신에게 실망스러워지는 일이 많습니다. 글 쓰는 걸 좋아하고 몇 년간 써왔지만 사진이나 도와줄 매체 없이 오직 글 만을 적어놓으면 내 표현력이 이 정도밖에 되지 않았구나가 뼈저리게 다가옵니다. 오히려 군대는 매일 변함없는 일상의 반복이니까… 일기가 무엇보다 적기 어려울 거야라고 자기 위안으로 조금은 아픈 마음을 달래 봅니다. 가장 어려운 것은 이제 군 들어와서 세 번 정도 일기를 적었지만 제목 정하기가 벌써부터 막막한 걸 보면 문제가 이만저만이 아니기는 합니다. 글의 형식만 ‘일기’지 하루에 있었던 일이 아닌 모든 기.. 2024. 8. 8.
오래간만에 큰 결심 군대에 와서 상심도 많이 하고 후회하는 일 들도 많지만 당연히 마음 한편으로는 군대에서 처리할만한 일을 해보자 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다들 주위에도 물어보면 건강과 관련된 얘기를 꺼내기에 최대한 잘 자고 잘 먹고 열심히 움직이고를 기본 스탠스로 삼고 생활하려고 노력 중이기는 합니다. 그렇게 하면 나머지 것들은 건강 해질 줄 알았는데 마냥 그렇지는 않나 봅니다. 군대를 들어오기 전부터 정신적으로 좀 힘들었습니다. 전 꽤나 구시대적인 사람이라 속으로도 정신론을 들먹이며 참으려고 했지만, 군대라는 제한된 환경에 오니 임계점을 넘겨버린 것 같습니다. 아름아름 좋지 않은 생각들이 참기 힘들 정도로 많이 나서, 결국은 정신과를 외진으로 다녀왔습니다. 검사도 설문도 누가 봐도 부정할 수 없을 정도로 중증도라… 저 .. 2024. 8. 7.
군인이 되고 난 이후에 글쓰기 글을 잘 쓰지는 못 하지만 언제나 무언가를 끄적이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렇기에 군대에 와서도 야간 연등까지 신청을 해 가며 책과 공책을 펼치는 게 후반기 교육에 와서는 일상이 되었습니다. 사실 군대라는 굉장히 제한적인 환경에서 펜을 잡아보니 글 쓰는 게 이렇게 막막하고 답답한 일인 것을 느끼게 됩니다. 글 자체가 싫어진 것은 아닙니다. 필요한 맞춤법, 글에 들어갈 기반 지식들을 손가락만 까딱 하면 찾을 수 있었던 사회와는 달리 오직 저에게 있는 것은 펜과 종이 밖에 없습니다. 글쓰기에 펜과 종이 말고 무엇이 필요해라고 하겠지만, 저는 이 사실을 지금까지 잊고 살았던 거 같습니다. 분명 중학교 때는 자신의 감정과 표현을 순수하게 담아내는 시를 굉장히 좋아했던 것 같은데, 어느 순간부터 감정에 대해 생각하고.. 2024. 8. 6.
군생활과 커피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블로그에 접속했네요. 그동안 블로그를 더 활발하게 운영하려고 했지만, 시간이 많이 부족해서 쉽지 않았습니다. 요즘 그냥 마음이 싱숭생숭 하기도 해서 글을 한 번 적어봅니다. 지난 6월은 군 입대 준비로 정말 정말 바빴습니다. 입대 전까지 해야 할 일들이 많아서 블로그에 집중할 시간이 없었네요. 군 입대라는 큰 전환점을 준비하면서 여러 가지 생각도 많아지고, 현자타임에 가까운 부정적인 감정도 많이 들었지만 남자에게 있어서 군대란 확실히 인생 생각을 한 번 정리하는 시점이 맞는거 같습니다. 갑작스럽기는 하지만 제대 후에는 커피를 취미가 아니라 직업으로 삼고자 합니다. 커피에 대한 열정은 군대에 오기 전부터 꾸준했지만 원래 전공이었던 물리치료과에 대한 매몰비용 때문에 미련하게 계속 진로 .. 2024. 8. 3.
안녕하세요 다시 블로그를 시작해 보려고 해요 뭐 어차피 여기에 써도 누가 보는 사람은 없겠지만, 카테고리의 이름대로 주저리주저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블로그에 쓴 마지막 글이 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그걸 기점으로 꽤나 사람이 방황을 했던 것 같습니다. 대학교도 제 기대와는 맞지 않아서 계속 딴 길로 가려고 하고 결국 어줍잖은 시도만 계속하게 되었던게 원인이지 않나 싶습니다. 결국 대학교는 4년을 넘어서 1년을 휴학 비슷하게 써버려서 총 5년이라는 시간이 무의미할 정도로 흘러가게 되었네요. 그런 일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감정을 이야기 하려고 하면 백일장이 되어버릴 느낌이 들어서 용건만 말하자면, 결국 돌고돌아 원점으로 블로그부터 다시 시작합니다. Korea 360 VR Video 제가 다니는 여러 장소들을 vr 영상으로 찍어서 업로드 합니다. 사용 기.. 2023. 12. 18.
불법복사와 정품에 대한 생각 오래간만에 주저리주저리 게시판에 글을 올리는 것 같다. 이 주제와 관련된 글은 예전부터 쓰려고 생각은 하고 있었다. 하지만 여러 가지 민감한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생각의 정리가 필요했기에 이제야 작성을 해본다. 한때는 공익광고로 TV에 까지 자주 나왔던 주제이지만, 요즘은 영화관에서 상영전 광고시간에 잠시 틀어주는 수준이다. 공익광고는 사람들의 시민의식은 개선시켜야 될 필요가 있을 때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좋게 생각하자면 예전보다 사람들의 불법복제 사용이 줄었다는 것일 거다. 불법복사란? 어떤 창작물이나 권리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불법복사라는 단어 보다도 '복사'와 '돌이'를 합친 인터넷 신조어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문제가 뭘까? 당연한 .. 2020. 2. 16.
사전에도 없는 일본어 ベタ きっと少女漫画じゃ両想い 분명 순정만화적으로는 둘이 좋아하는 거야 ベタでいいじゃん むしろベタがいいじゃん 진부해도 괜찮아 오히려 진부한 게 좋잖아 モブ女の私もヒロインなる気ありますなんてね 서브 캐릭터인 저도 여주인공이 될 마음은 있거든요 -허니웍스 히로인 육성계획의 가사- 허니웍스 honeyworks - 히로인 육성계획 ヒロイン育成計画 가사, 듣기 히로인 육성계획 feat. 스즈미 히요리(CV:미나세 이노리) きっとヒロインなら綺麗で 분명 여주인공이면 이쁘고 王子様にチヤホヤされるでしょ? 왕자님한테 떠받들려지지? 芋女の私もお姫様になれたらなんてね(イ.. rinten12.tistory.com 오늘 알아볼 단어는 ベタ. 카타가나로 쓰인 단어이다. 사전에 찾아봐도 잘 나오지 않아서 번역하는데 골머리좀 썩었다. 처음에 봤.. 2020. 1. 16.
[한글자막]고백 실행 위원회(첫사랑 시리즈) [코타로의 생일] 허니웍스 성우 라이브 이벤트 #1 구독은 자막 제작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허니웍스 좋아영시간 나올때 마다 짬짬히 만들고 있는 허니웍스 자료 관련 자막입니다.이번 영상은 나츠키 성우인 토마츠 하루카의 애드립이 웃기네요 ㅋㅋ이거 전에 한 성우 라이브 영상도 있으니 밑에 링크를 확인 해 주세요 2019. 1. 7.
[픽시브번역]신주쿠 잔다르크 오르타와 이런 대화 출처:https://www.pixiv.net/member_illust.php?mode=medium&illust_id=61713074 2017. 6. 14.
서브컬쳐에 깊숙히 연관되어 있는 다이쇼 로망(낭만)의 어두운 면 다이쇼 로망, 일본 역사나 문화에 관심이 있다면, 한번쯤 들어봤을 단어이다. 최근에는 서브컬쳐나 다른 곳 에서도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익숙한 사람들이 더 많을 것이라고 생각 된다. 일단 본격적인 내용에 들어가기 전에 다이쇼 로망부터 설명해 보자. 일단 다이쇼는 다이쇼 천황의 직위기간(1879년 7월 30일~1926년 12월 25일)동안 사용되었던 대일본제국의 연호이다. 대일본제국? 이정도 말 나오면 어느 정도 시대인지 짐작하는 사람들 도 있을 것 이다. 그렇다. 일본의 제국주의 시절이다. 왜 그럼 이 시절에 대한 로망이 남아있는 걸까? 말 그대로 일본의 최전성기였기 때문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2차 대전 초기에 일본이 한국 러시아 중국의 땅을 차지하고 있을 사기를 의미한다. 이정도면 일본이 어느 정도 전.. 2017. 1. 1.
너무나도 위험한 나의 블로그 ​ 이유는 모르겠지만 ... 구글에 검색하면 성인인증 하라고 뜬다... 2016. 12. 12.
반응형